기술 표준을 정의하는 기구는 대표적으로 ISO, IEC, IEEE 등이 있으며, 비즈니스를 하며 해당 국가의 기관 혹은 기업에 요구하는 표준이 다를 수 있다. 더럽게 많지만 알아두면 유리하다고 생각되며 표준을 알아야 현업에 맞춰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리한다.
목적
요구사항 정의의 완전성 확인
SW 요구사항 확인
SW 설계 목적 확인
테스트 목적 확인
사용자 인수 기준 확인
정량적 품질 평가를 위한 기본 틀
조직의 품질 목표를 설정
ISO/IEC 9126와 IEEE/ISO/IEC 25010
1991년 처음 발표되어 이후 IEEE/ISO/IEC 25010 표준으로 대체되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특징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품질이 높을까 관점으로 접근하여 품질 특성을 정의한다. 8가지로 구분하고, 31개의 부특성을 포함한다. 자세한 설명은 https://wingsh.tistory.com/136 로 대체한다. 절대 귀찮아서 아님
여담이지만 한창 면접을 보러다닐 때 이러한 특성 표를 붙여 놓은 기업이 있었는데, 글로벌 SW 솔루션 기업이라 표준을 중요시했고 면접 질문도 어떻게 하면 기준을 정하고 효율적인 테스팅을 할 수 있을까 심도 있는 고민을 하는 팀도 있었다.
마치며
산업 분야에서 정의된 표준이 있다. 예를 들어, 항공/전장에서 만족해야 하는 특성과 웹앱에서 만족해야 하는 품질은 다르기 때문에 해당하는 도메인 특성을 확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Test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st Data의 개념과 데이터 생성부터 관리 방법 A-Z (0) | 2021.12.28 |
---|---|
맨날 까먹는다, 테스트 유형(Type of Testing) (0) | 2021.10.26 |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