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qualityhm.tistory.com/8 품질 국제 표준 1탄 기술 표준을 정의하는 기구는 대표적으로 ISO, IEC, IEEE 등이 있으며, 비즈니스를 하며 해당 국가의 기관 혹은 기업에 요구하는 표준이 다를 수 있다. 더럽게 많지만 알아두면 유리하다고 생각되며 qualityhm.tistory.com 1탄에 이어서 타 부서와 협업 시 필요한 요구사항 기준, 평가 방법,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을 알아본다. ISO/IEC 12119 SW 패키지에 대한 요구사항, 패키지를 시험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이다. 평가 대상은 제품설명서, 사용자 문서, 제품 및 데이터이다. 원시코드 필요한 시험은 제외된다. 대상 이 규격의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될 수 있다. 공급자가 -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대..

기술 표준을 정의하는 기구는 대표적으로 ISO, IEC, IEEE 등이 있으며, 비즈니스를 하며 해당 국가의 기관 혹은 기업에 요구하는 표준이 다를 수 있다. 더럽게 많지만 알아두면 유리하다고 생각되며 표준을 알아야 현업에 맞춰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리한다. 목적 요구사항 정의의 완전성 확인 SW 요구사항 확인 SW 설계 목적 확인 테스트 목적 확인 사용자 인수 기준 확인 정량적 품질 평가를 위한 기본 틀 조직의 품질 목표를 설정 ISO/IEC 9126와 IEEE/ISO/IEC 25010 1991년 처음 발표되어 이후 IEEE/ISO/IEC 25010 표준으로 대체되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특징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품질이 높을까 관점으로 접근하여 품질 특성을 정의한다. 8가지로 구분..

학부생 시절 빵판 보드를 다시는 볼 일은 없을 줄 알았는데, 일하다 보니 다시 접하게 되었다..웹/앱과 같은 SW와 달리 HW에 종속성이 높은 임베디드 테스팅은 어떠한 어려움이 있고, 테스트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한 고민을 정리한다. 도메인 지식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테스팅 설계-수행-정리 시 직면할 문제가 있다면 추가로 정리해보자! 임베디드 테스팅 필요성 오동작/결함 발생 시 하드웨어 생산과 같은 피해가 심각하다 높은 SW 신뢰성이 요구된다 Mission critical 특성을 띈다 임베디드 테스팅의 어려움 특정 하드웨어 개발이 병행되어 개발되는 경우가 많고, 최적화가 요구되는 하드웨어의 의존성이 높아 하드웨어 자체의 능력이 잘 검증된 경우와 달리 하드웨어의 샘플이 적거나 제약이 ..

QA는 기획/논리적 오류 사전 검증, 사업 운영에 대한 타당성 검증, 협업 과정 중 프로세스 개선 제시 활동, 디자인 리뷰, 보안, 테스트를 통한 결함 도출 및 관리 등 협업 부서의 이해가 있다는 전제하에 품질을 높이기 위해 정말 다양한 업무 영역에서 역량을 펼칠 수 있다.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어떠한 역량을 쌓는게 좋을까 고민하였을 때 무엇보다 테스팅 활동 자체의 퀄리티를 먼저 높이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고, 테스트 대상의 도메인 이해도, 프로젝트 상황, 프로세스 상 단계에서 어떤 테스팅을 수행할 지 판단하고 적합한 테스팅을 설계 및 수행 능력을 높이고자 기본 지식을 정리하였다. Testing 타입은 100+가 존재한다. Testing cycle을 돌리는데 있어 공통적인 타입을 정리하여 기법 및 전략..
Comment